본문 바로가기
넷플릭스 Original/넷플릭스영화

🎬 과거와 현재를 잇는 전화 한 통, 그리고 파국 - 넷플릭스 영화 『콜』(The Call, 2020)

by BAEKBEAR 2025. 3. 20.

 

 

1. 기본 정보

📌 제목: 콜 (The Call, 2020)
🎭 장르: 스릴러, 미스터리, 범죄, 공포
🎬 감독: 이충현 (장편 데뷔작)
🖊 각본: 이충현
🎼 음악: 달파란 (곡성, 마녀 OST 참여)
📷 촬영: 조영철
🏢 배급사: 넷플릭스 (Netflix, 글로벌 배급)
📅 개봉일: 2020년 11월 27일 (넷플릭스 공개)
러닝타임: 112분
💰 제작비: 약 55억 원

🏆 수상 및 평가

  •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(전종서)
  • 부일영화상 미술상, 음악상 수상
  • 넷플릭스 글로벌 TOP10 영화 랭크
  • 로튼토마토 신선도 100% (초기 평점 기준)

평점 및 전문가 평가

  • IMDb: ⭐ 7.1/10
  • 로튼토마토: 🍅 85% (비평가) / 88% (관객)
  • 메타크리틱: 🎯 65/100

📝 전문가 평가

  • Collider: “한국 스릴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작품.”
  • IndieWire: “시각적 스타일과 긴장감이 압도적.”
  • 한겨레: “전종서의 소름 돋는 연기가 영화의 중심을 잡는다.”

2. 출연진 및 주요 인물

👤 박신혜 – 김서연 (현재에 사는 여자, 과거를 바꾸려 함)
👤 전종서 – 오영숙 (1999년에 사는 연쇄살인범, 서연과 통화)
👤 김성령 – 서연의 어머니 (숨겨진 비밀을 지닌 인물)
👤 이엘 – 영숙의 어머니 (딸을 광신적으로 통제하는 존재)

 

🎭 캐스팅 특징

  • 박신혜, 감정선이 복잡한 캐릭터를 설득력 있게 표현.
  • 전종서, 『버닝』 이후 강렬한 연기로 사이코패스 역할 완벽 소화.
  • 김성령, 예상외의 반전을 지닌 캐릭터로 강렬한 존재감.
  • 이엘, 짧은 등장에도 깊은 인상을 남김.

3. 줄거리

📍 기본 설정

  • 현재를 살아가는 서연(박신혜), 오래된 집에서 우연히 낡은 전화기를 발견.
  • 전화기에서 들려오는 목소리의 주인공은 1999년을 살고 있는 영숙(전종서).
  • 두 사람은 서로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.

📍 주요 전개

  • 서연은 자신의 과거를 바꾸기 위해 영숙에게 도움을 요청.
  • 영숙은 그 대가로 자신의 미래를 바꾸려 하고, 점점 폭력적이 되어감.
  • 과거가 변할수록 현재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.
  • 결국 서연은 영숙이 연쇄살인범임을 알게 되고, 전화는 공포로 변한다.

📍 결말

  • 서연과 영숙의 마지막 대결, 충격적인 반전과 열린 결말.
  • 과거와 현재가 계속해서 교차하며, 마지막 장면에서 섬뜩한 여운을 남김.

4. 주제 및 메시지

💡 운명과 선택의 역설
➡️ 한 가지 선택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.

 

💡 과거와 현재의 연결
➡️ 단순한 시간 초월이 아닌, 인간의 욕망과 공포가 얽힌 심리적 연결.

 

💡 인간 본성의 양면성
➡️ 절박한 사람과 광기 어린 사람의 차이, 그리고 그 경계의 모호함.


5. 연출 및 미장센 분석

🎨 색채 연출

  • 어두운 블루톤과 붉은 조명이 주요 장면에서 강렬하게 대비.
  • 서연의 현재 장면은 차갑고 무채색, 영숙의 과거 장면은 따뜻한 듯하지만 점점 어두워짐.

🎥 카메라 기법

  • 핸드헬드 촬영으로 인물들의 감정 변화를 강조.
  • 과거와 현재가 한 화면에서 교차하는 연출이 시각적으로 인상적.

🎼 사운드 및 음악 분석

  • 달파란의 긴장감 넘치는 OST, 씬마다 압도적인 분위기를 형성.
  • 전화 벨소리의 반복적 사용으로 공포감을 극대화.

6. 유사한 작품 비교 분석

🎬 비슷한 테마를 가진 영화들

영화 공통점 차이점
📞 프리퀀시 (2000) 과거와 현재가 무전으로 연결 감성적인 부자 관계 초점
⏳ 시간의 주름 (2018) 시간과 차원을 초월한 연결 판타지 요소가 강함
🔪 나이브스 아웃 (2019) 미스터리 & 반전 추리 중심, 시간 초월 요소 없음

7. 장점과 단점 분석

장점

✔️ 강렬한 캐릭터 대비 – 서연과 영숙의 심리전이 압도적.
✔️ 긴장감 넘치는 연출 – 초반부터 몰입감을 유지하며, 클라이맥스로 치닫는 템포 조절이 뛰어남.
✔️ 전종서의 연기력 – 광기를 넘어선 공포 그 자체.

 

단점

✖️ 서사의 개연성 부족 – 몇몇 장면에서 설정의 허점이 보임.
✖️ 열린 결말의 호불호 – 마지막 반전이 강렬하지만, 명확한 마무리를 원한 관객들에게는 아쉬움.


8. 관객 추천/비추천 포인트

🎯 이런 분들께 추천!
✅ 한국 스릴러 특유의 긴장감 있는 연출을 좋아하는 분
✅ ‘시간 초월’ 소재에 흥미를 느끼는 분
✅ 강렬한 여성 캐릭터들의 심리전을 즐기는 분

 

⚠️ 이런 분들께 비추천!
❌ 열린 결말을 싫어하는 분
❌ 개연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분
❌ 전형적인 공포영화를 기대하는 분


9. 결론 및 총평

🔹 결론
『콜』은 단순한 시간 초월 영화가 아닌, 인간의 욕망과 광기를 섬뜩하게 파고든 작품이다. 과거와 현재의 연결이 한 사람의 운명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, 박신혜와 전종서의 강렬한 연기가 영화를 더욱 빛나게 한다.

 

🔹 총평

🎬 스토리: ★★★★☆ (설정의 신선함, 개연성 일부 부족)
🎭 연기: ★★★★★ (전종서의 미친 연기력)
🎥 연출 및 미장센: ★★★★☆ (강렬한 색감과 카메라 워크)
🎼 음악 및 음향: ★★★★☆ (긴장감을 극대화하는 OST)
🔥 흥미 요소: ★★★★☆ (과거와 현재의 교차, 강렬한 서스펜스)
💡 메시지와 철학성: ★★★★☆ (운명과 선택에 대한 탐구)

 

평점: 8.0/10
🎞 스릴러 팬이라면 놓칠 수 없는 작품! 📞🔪